< 메인화면

🤖 금쪽이 챗봇 제작 도우미

교사·학생이 함께 사용하는 체계적인 챗봇 제작 가이드

📚 프롬프트 가이드

일관성 있는 챗봇 동작을 위한 표준 프롬프트 구조와 작성 원칙입니다.

📋 기본 템플릿 구조 (1,000자 이내)
[Role] (60자 이내) 챗봇의 역할과 전문성 정의. 대상 학년과 주제 분야 명시 [Context] (120자 이내) 상황, 배경, 정보 범위, 기준 연도, 참고 자료 등 [Rules] (각 130자 이내) 1) 답변 범위: 구체적인 소단원 3-5개 명시 2) 범위 이탈 시 대응: 복귀 유도 문구와 재제안 방법 3) 설명 방식: 난도 조절, 예시 활용, 용어 풀이 등 4) 추가 규칙 (선택사항) [Output] (110자 이내) 답변 길이: 전체 120자 이내, 최대 2문단으로 구성 마무리: 간단한 확인 질문으로 상호작용 유도 [Style] (90자 이내) 말투, 문체, 줄바꿈 규칙 등 스타일 가이드 [예시] (100자 이내) Q: 질문 예시 / A: 답변 예시 (120자 이내)
✏️ 핵심 작성 포인트
  • Role: 챗봇의 역할과 전문성을 명확히 정의. 대상 학년과 주제 분야를 반드시 포함하여 적절한 수준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설정
  • Context: 교과·주제·시대·기술 스택 등 챗봇이 활동할 구체적인 맥락 정보. 버전 정보나 기준 연도 등 정확한 데이터 명시로 일관성 확보
  • Rules: 답변 범위, 주제 이탈 시 대응 방법, 설명 난도, 출력 형식 등을 번호별로 구분하여 명시. 학습자 안전과 학습 효과를 위한 경계 설정
  • Output: 답변 길이를 120자 이내로 제한하고 최대 2문단으로 구성. 간결하면서도 핵심을 전달하여 학습자의 집중력 유지
  • Style: 말투(존댓말/반말), 문체, 줄바꿈 규칙 등 시각적·언어적 일관성을 위한 스타일 가이드 명시

🔍 프롬프트 작성 비교

좋은 프롬프트
[Role] 초등학생이 이해하기 쉬운 기후변화 해결책 안내자 [Context] 2030년 기준, 환경부 정책 자료, 국내외 현황 [Rules] 1) 질문 범위: 온실가스·신재생에너지·탄소중립·개인실천방안만 답변 2) 범위 외 질문: "기후 문제에 집중해볼까요? 다른 궁금한 점이 있나요?" 3) 어려운 용어는 쉬운 말로 설명, 구체적 수치 제시, 실생활 예시 포함 [Output] 핵심 내용을 120자 이내 2문단으로 구성. 마지막에 "어떻게 생각해?" 질문 추가. [Style] 친근한 존댓말, 80자마다 줄바꿈
나쁜 프롬프트
당신은 기후변화 전문가입니다. 모든 질문에 답변하세요. 친절하게 대답하고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주세요. 전문적인 내용도 포함해서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됩니다.

⚡ 템플릿 샘플 생성기

기본 정보를 입력하면 간단한 프롬프트 템플릿을 자동으로 생성합니다.


💡 아래 템플릿을 직접 클릭하여 수정할 수 있습니다. 과부하 방지를 위해 답변 규칙은 "120자 이내, 최대 2문단" 설정되어 있습니다.
여기에 생성된 템플릿이 표시됩니다.
⬇ 금쪽이 에듀에서 프롬프트 입력 시 가이드 끄기를 하신 후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.
프롬프트 위치

❓ 자주 하는 실수 FAQ

챗봇 제작 시 자주 발생하는 문제들과 해결 방법을 확인하세요.

프롬프트가 1,000자를 넘어가요. 어떻게 줄여야 하나요?
해결 방법:
1. Rules에서 중복되는 내용 제거
2. "그리고", "또한" 같은 접속사 삭제
3. 예시 부분을 Q:A: 형태로 단순화
4. Context에서 핵심 정보만 남기기
팁: 각 섹션별 글자수 가이드를 엄격히 지키면 자연스럽게 1,000자 이내가 됩니다.
챗봇이 주제를 벗어나서 답변해요.
원인: Rules 1번에서 학습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거나 모호함
해결 방법:
1. 구체적인 소단원명 3-5개로 범위 한정
2. "~에 대해서만 답변합니다" 명시
3. 벗어날 때 사용할 복귀 문구를 Rules 2에 정확히 기입
예시: "질문은 삼각형의 넓이·둘레·합동·닮음만 답변합니다"
학습 목표를 어떻게 작성해야 하나요?
작성 원칙:
1. "~할 수 있다" 체로 통일
2. 블룸 분류학 순서: 이해 → 적용 → 실제 문제 해결
3.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동사 사용
좋은 예: "삼각형의 넓이 공식을 설명할 수 있다" / "실제 문제에 공식을 적용할 수 있다"
나쁜 예: "삼각형을 안다" / "수학을 좋아한다"
챗봇 답변이 너무 길어서 학생들이 지루해해요.
해결 방법:
1. Output에서 답변 길이를 80자 이내로 제한
2. 최대 1문단으로 구성
3. "핵심 내용만 간결하게" 추가
효과: 학습자의 집중력 유지와 이해도 향상, 챗봇 과부하 방지
템플릿을 어떻게 내 상황에 맞게 수정하나요?
수정 방법:
1. 생성된 템플릿을 클릭하여 직접 편집 가능
2. Context에 구체적인 교육과정 정보 추가
3. Rules에서 학습 범위를 더 세분화
4. Style에서 학급 분위기에 맞는 말투 조정
팁: 복사 후 텍스트 에디터에서 추가 수정하여 완성도를 높이세요.

📝 메모 게시판

프롬프트 아이디어, 성공 사례, 개선점 등을 자유롭게 기록하고 공유하세요.

아이디어 메모장
[환경] 기후변화 챗봇 아이디어
학생들이 실제 탄소발자국을 계산해볼 수 있는 챗봇. 일상 행동을 입력하면 CO2 배출량을 알려주고 개선 방안 제시
[수학] 개념 시각화 방법
복잡한 도형의 성질을 말로 설명할 때 단계별 안내와 실생활 예시를 활용하여 이해도 향상
[과학] 실험 안전 가이드
과학 실험 전 안전 수칙을 퀴즈 형태로 확인하고, 실험 순서를 단계별로 안내하는 챗봇
[국어] 독서 토론 친구
책을 읽고 나서 등장인물 분석, 주제 파악,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는 질문들을 제공